주택임대사업자 임대료 인상률 계산방법 및 간편 조회
주택임대사업자는 규정상은 1년에 5% 이상 임대료를 올릴 수 없다는 규정이 있지만 실 현장에서 아파트의 경우 2년에 1번 계약으로 실질적으로는 2년에 5%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이다.
.......T..T;;;
하지만.....
오피스텔을 주택임대사업자에 등록 시 오피스텔은 통상 1년에 1번 계약으로 1년에 5% 인상을 할 수 있다.
인상률 계산은 등록 민간임대주택 홈페이지 렌트홈 처음 화면에서 임대료 인상률 계산 클릭하면 계산 화면이 나오며 간편하게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.
귀찮아하시는 분들을 위해 아래에 링크를 누르시면 바로 들어갈 수 있으니 아래 링크를 꾹 눌러주세요.
임대료 인상률 계산식도 링크 밑에 작성해 놓겠습니다. 더블 첵 하실 분들은 아래 계산식으로 다시 한번 계산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. 그만큼 5% 인상률은 엄청 엄청 중요해요.
인상률 지키지 않으면 과태료와 국세 및 지방세에서 각종 세제혜택을 받으실 수 없어요.
아까운 단기 임대 4년, 장기임대(준공공) 8년 날아가는 것입니다.
제가 가지고 있는 오피스텔은 인상률대로 받기가 힘들어서 낮아지지만 않기를 바라고 있습니다.
여러분은 여건이 가능하면 오피스텔은 1년에 한 번 인상 가능하니 인상률 계산하여 올려 받으시기 바랍니다. ^^
1. 렌트홈 임대료인상률 계산 링크
www.renthome.go.kr/webportal/minwon/common/popup/rncrgAtmcCalcPopup.open
임대료 계산
www.renthome.go.kr
2. 주택임대사업자 임대료 인상률계산 방법
- 임대료 인상률 = (변경 후 환산보증금 - 변경 전 환산보증금) / 변경전 환산보증금 X 100
- 환산보증금 = 임대보증금 + (월 임대료 X 12) / 4.00%
- 예시) 4.00% = (주택임대차 보호법 제7조의 2 [월차임 전환 시 제한 산정률]) + (2020-05-28기준 한국은행 기준금리)
- 한국은행 기준금리 입력에 따라 월차임 전환시 산정률이 계산하여야 해요.
3. 한국은행 기준금리변동현황 확인방법
- 통화정책 -> 통화정책방향->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
'부동산 > 주택임대사업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표준임대차계약서 (주택임대사업자_2022.1.14개정) (0) | 2022.03.19 |
---|---|
등록신청절차, 조건사항 (주택임대사업자) (0) | 2020.06.05 |
주택, 임대사업자 뜻 정의는....(주택임대사업자) (0) | 2020.06.04 |
표준임대차계약서 작성방법, 양식, [서식개정 2020-05-27] (주택임대사업자) (0) | 2020.06.02 |